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 파이썬 자료형
- GIT
- sort()
- ARP
- CS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
- 파이썬 연산자
- 기억장치
- data type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 컴퓨터네트워크
- 북클럽
- 시스템 소프트웨어
- IT5분잡학사전
- DP
- RARP
- 쿠키
- icmp
- 리스트
- 노마드코더
- 이코테
- 노개북
- 파이썬 정렬
- 자료형
- OSI7계층모델
- 라우팅
-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 데이터통신
- 컴퓨터 동작방식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94)
뚝딱햄 탈출기

인터넷 공학(2) 수업에 사용되는 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3판] / 박기현 / 한빛 아카데미 교재에 대한 연습문제를 정리한 내용이다. 네트워크 기초 용어 네트워크는 하드웨어적인 전송 매체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모음이다.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기기(컴퓨터, 스마트폰, IPTV 등)가 통신하기 위해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라우터와 같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연결된다. 컴퓨터가 1 대 1로 연결된 것도 네트워크 ! 시스템과 전송 매체의 연결 지점에 대한 규격은 인터페이스이다. 시스템이 데이터를 교환할 때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동작하는 통신 규칙인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시스템을 상호 연동해 동작시키기 위함이니, ..
Vi, Vimvim test.txt # 현재 디렉토리에 test.txt 파일 생성됨.# vi [이름] 도 같은 역할.# vim은 vi의 업그레이드 버전. 가독성 더 좋음. 명령어는 동일하게 사용.리눅스의 기본 편집기. 키보드만으로 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터미널 기반 에디터.명령 모드(ex 모드)와 입력 모드가 있다.명령 모드와 입력 모드입력 모드 : 문서 작성. 텍스트 입력 및 수정.명령 모드 : 문서 저장, 종료 등. 처음에 명령 모드로 열리기 때문에 입력 모드로 전환해야 텍스트 입력 가능함.또한 입력 모드에서 텍스트 입력 후 파일을 저장하려면 명령 모드로 전환해야 함.명령 모드 - 입력 모드 전환법명령 모드 → 입력모드'i', 'a', 'o' 입력. (입력하면 화면 맨 아래에 INSERT 또는 끼워넣..
깃 설치 후 Git Bash 창에 'git' 입력 후 엔터를 누른다.$ git깃 명령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옵션이 표시된다면 깃이 제대로 설치된 것임.깃은 버전을 저장할 때 마다 버전을 만든 사용자 정보도 함께 저장하기 때문에 사용 전 사용자 정보를 먼저 입력해야 함.-> 어떤 버전을 언제 누가 만들었는지 파악 용이. (협업시에 더더욱 좋을듯) Git Bash에 사용자 정보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주소) 입력하여 설정.깃에서 사용자 정보 설정할 땐 git config 명령 사용.--global 옵션 추가시 현재 컴퓨터의 모든 저장소에서 같은 사용자 정보 사용하도록 설정됨.$ git config --global user.name "Hyerim"$ git config --global user.email ..
깃의 학습 목적버전관리백업협업버전관리 -> 백업 -> 협업 순으로 학습. (버전관리 알아야 백업 학습 가능 / 백업 알아야 협업 학습 가능) 버전관리: 커밋을 통해 변경 사항 / 수정 시점 확인 + comment 작성 가능하도록 함. 백업: 내 컴퓨터(=지역 저장소)에 있는 파일을 github(=원격 저장소)에 복제. 협업: 원격 저장소에 파일을 올리고, 내려받으며 협업 가능. "원격 저장소를 매개로 협업할 수 있다.": if 같은 파일 / 같은 라인을 수정했다면 ? -> (덮어쓰기 안되도록 ) 나중에 업로드하는 사람이 처리하도록 교통정리도 해줌.: 다른 사람이 작업한게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pull. (Fetch origin 버튼.) -> 인터넷으로부터 가져온다. -> history에 뜸. (histo..

Ep.22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코드를 더 효율적이고 빠르게 만들기 위해 필요하다. 자료구조 ; Data Structure :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보관하고 찾기 위한 것. : 프로그램의 목적에 따라 사용하는 자료구조가 다르므로 자료구조의 방식은 다양하다. 알고리즘 : 컴퓨터에 내리는 지시 사항을 나열한 것. : Ex) 혜림이의 자기 전 알고리즘 1. 양치 2. 세수 3. 스킨케어 4. 전자기기 충전 5. 눕기 Ep.23 배열 램 ; Random Access Memory : 휘발성 메모리. -> 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인 변수, 함수 등이 저장됨. -> 램이 있어야 프로그램 실행 가능. : 배열을 이용해 램에 주소를 부여한다. -> 데이터에 접근하는 속도가 안정되고 빠름. 배열 : 배열..

2월 23일 새벽.. 나홀로 제주 애월 여행 중 쓰던 TIL을 이제야 마저 쓰는 나에요 .. ㅋㅋ Ep.16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사라진 이유와 브라우저 엔진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CSS와 Ajax를 최초로 적용한 웹 브라우저로, 2003년까지 시장 점유율이 95%일 정도로 시장을 독점했다. 그러나 엔진 업데이트가 느려 버전 업데이트 사이에 보안 취약점 많이 발견되었고 그를 빨리 해결하지 않았다. 그 사이 크롬, 사파리 등의 브라우저들이 더 좋은 엔진을 갖추고 발전했고, 결국 MS는 익스플로러의 지원을 중단하고 마이크로소프트 엣지를 개발했다. 엔진이란? 웹 브라우저의 핵심 프로그램을 '브라우저 엔진' 또는 '렌더링 엔진' 이라고 함. 브라우저(크롬/사파리/파이어폭스 ..)는 엔진(블링크/웹킷/게코 ..)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