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 시스템 소프트웨어
- CS
- DP
- OSI7계층모델
- 데이터통신
- 파이썬 자료형
- 파이썬 정렬
- sort()
- 쿠키
- IT5분잡학사전
- 컴퓨터네트워크
- 노마드코더
- 북클럽
- 라우팅
-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 자료형
- 리스트
- 노개북
- RARP
- 컴퓨터 동작방식
- 이코테
- GIT
- 기억장치
- data type
- icmp
- ARP
- 쉽게 배우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
- 파이썬 연산자
Archives
- Today
- Total
뚝딱햄 탈출기
[Git][Linux] 문서 편집기 vi, vim 명령어 본문
Vi, Vim
vim test.txt # 현재 디렉토리에 test.txt 파일 생성됨.
# vi [이름] 도 같은 역할.
# vim은 vi의 업그레이드 버전. 가독성 더 좋음. 명령어는 동일하게 사용.
리눅스의 기본 편집기. 키보드만으로 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터미널 기반 에디터.
명령 모드(ex 모드)와 입력 모드가 있다.
명령 모드와 입력 모드
입력 모드 : 문서 작성. 텍스트 입력 및 수정.
명령 모드 : 문서 저장, 종료 등.
처음에 명령 모드로 열리기 때문에 입력 모드로 전환해야 텍스트 입력 가능함.
또한 입력 모드에서 텍스트 입력 후 파일을 저장하려면 명령 모드로 전환해야 함.
명령 모드 - 입력 모드 전환법
명령 모드 → 입력모드
'i', 'a', 'o' 입력. (입력하면 화면 맨 아래에 INSERT 또는 끼워넣기 라는 단어 나옴.)
입력 모드 → 명령 모드
Esc 누른 후 ':' 입력. (INSERT 또는 끼워넣기 라는 단어 나왔던 자리에 작성됨.)
: 뒤에 명령어 작성하면 된다.
명령어
명령어 | 설명 |
i | 현재 커서 위치에 문자를 삽입하며 입력 모드로 전환 |
a | 현재 커서 다음에 문자를 삽입하며 입력 모드로 전환 |
o | 현재 행 다음에 새로운 행 생성하고 문자를 삽입하며 입력 모드로 전환 |
x | 현재 커서 위치의 문자 삭제 |
dd | 현재 커서가 위치한 행 삭제 |
:w or :write | 편집하던 문서 (파일) 저장 |
:q or :quit | 편집기 종료 (종료 시 빔 편집기 꺼지고 터미널 창으로 돌아감) |
:q! | 편집하던 문서의 변경 사항을 저장하지 않고 편집기 강제 종료 |
:wq | 편집하던 문서 (파일) 저장 후 편집기 종료 |
:wq [파일명] | 지정한 이름으로 편집하던 문서 저장 |
ESC | 입력 모드 종료, 명령 모드로 전환 |
'git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로컬 저장소에 원격 브랜치 가져오기, 브랜치 전환/생성/삭제/조회 (0) | 2024.08.10 |
---|---|
[Git][Linux] 리눅스 기본 명령어 (0) | 2023.05.09 |
[Git]깃 설치 후 환경 설정 (0) | 2023.04.03 |
[생활코딩][GITn]GIT1 (0) | 2023.03.30 |
Comments